레이블이 wisdom of crowd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isdom of crowd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6월 23일 화요일

나의 독서론

prologue

Inuit님이 시작하신 나의 독서론 릴레이를 지켜보면서
먼저 손들고 써볼까 하는 생각도 했지만 블로그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는 나에게
블로그 릴레이란 왠지 남의 잔치 같은 생각이 들어서 지켜보다 잊고 지냈었다.

그러다 뒤늦게 나도 독서론 릴레이의 바통을 이어 받은 것을 알았다. 흑
한성민이 나에게 바통을 넘겨주신 것이다.

내가 놓친 바통을 찾았을 때는 이미 경주는 끝난 상태였다.

그래도 끝까지 경주를 마친 선수들도 많은 박수 갈채를 받기에 나 또한 혼자 남은 웹 세상을 달려보고자 한다.


1.나에게 독서란 [번역기]이다.

 이미 많은 블로거들이 독서에 대한 철학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블로거들의 생각을 한번 살펴 보니 내가 생각했던 왠만한 표현은 다 쓰신 것 같아서 좀 고민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읽는 책이 어떤 분류인지 한번 살펴보고 답을 구하고자 했습니다.
저는 주로 4종류의 책을 읽습니다.
IT 트랜드 관련 서적, 연애 or 성장 소설, Vision 관련 그리고 육아에 관한 책입다.
이렇게 생각이 흐르다가 육아에 관한 책에 잠시 멈춰섰습니다.
그리고 점점 자기 주관이 생기고 있는 아들과 좀더 효율적인 대화를 위해 책을 읽는 제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독서라는 번역기를 통해 아이의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5530705.jpg

이미지출처 : www.yes24.com


저는 부모와 아이 입장에서 번역기라는 표현을 썼지만 독서를 '소통'으로 생각하시는 고무풍선기린님과
'다른 세상을 보는 창'으로 생각하시는 Fallen Angel님의 독서론과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 ^^


2. 앞선 릴레이 주자

 경주에 계시는 한성민님 입니다 ^^

3.  릴레이 받으실 분

릴레이가 끝나서 다음 주자는 안계시네요 ^^


2008년 10월 23일 목요일

인터넷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구글 크롬 쓰고 계시나요?

구글 크롬에는 구글 기어스가 기본으로 탑제되어 있어
구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웹서비스의 Shortcut를 Desktop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구글 기어스와 비슷한 것으로 firefox에서 제공하는 prism이라 것이 있습니다만
prism은 아직 lab버전이라 그런지 크롬과 같이 제공되는 구글 기어스의 기능이 더 쾌적하게 느껴집니다.

shortcut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PC 설치형 프로그램과 web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거의 느낄 수 없습니다.
아.. 물론 웹 서비스는 로그인을 해야 되지만 id,pw를 저장해두면 정말 차이가 없습니다 ^^

저는 이렇게 gmail과 구글 rss, 그리고 구글 calenda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예전에 outlook를 사용할 때 불편하게 느꼈던 정보의 PC 독립성에서 탈피할 수 있었습니다

PC의 고사양화와 web서비스의 발전, 그리고 구글 기어스의 API를 체용한 web 서비스의 증가를 통해
몇년후면 모든 프로그램이 온라인화되고 구지 내 PC를 안갖고 다녀도
내가 원하는 application과 data를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것은 1인 1PC시대를 넘어서 1인 多PC시대로 가고 있는 하드웨어적인 변화에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적인 변화라 생각됩니다.

MS는 맘이 급해하겠죠.
소프트웨어 판매를 통한 수익모델이 무너지는건 시간문제니깐요.
그나마 있던 PC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사람도
얼마전에 Sun에서 공개한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인 Open office의 등장으로 인해 조만간 이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웹서비스든 설치형 서비스든 소프트웨어는 무료화 되가고 있습니다.

그럼 웹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인터넷은 어떻게 될까요?
기특한 무어의 법칙으로 인해 장비는 고사양화되가면서도 지속적으로 싸지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무식하게 땅을 파서 라인을 깔아야 했지만 이것도 wimax의 발전으로 인해 옛 추억이 되려합니다.
망관리도 점점 자동화 프로그램이 늘어나서 적은 인력으로 많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text에서 사진, 사진에서 동영상으로 소비자가 주고 받는 정보의 크기는 커지고 있지만
압축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네트워크 부담은 조만간 정점을 찍고 경감될 것입니다.
이렇게 진입장벽이 내려가고 있는 불난집에 기름붙는 것처럼
욕심 많은 지자체들이 서로 자가망을 구축하여 시민들에게 공짜 인터넷을 제공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다음 세대들은 인터넷을 왜 돈내고 쓰냐고 할 것 같지 않으세요? ^^

그럼 이제 ISP들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

여러분의 지혜를 듣고 싶습니다! ^^